728x90
분산전원 개념
분산전원: 기존의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는 달리 소규모로서 소비지 근방에 분산배치가 가능한 전원
넓은 의미로는 저장설비를 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 될 수 있음
분류기준 | 분사전원의 형태 |
발전기술 | 가스터빈, 가스엔진, 디젤엔지, 수소력, 연료전지, 태양광, 풍력, 저장(2차전지, Fly-wheel, 초전도) |
발전설비 | 회전기(동기기, 유도기), 정지기 |
이용형태 | 발전전용, 열병합발전, 저장 및 발전 |
소유 및 운용권한 | 전기사업자용, 비전기사용자용 |
계통과의 연계운전 | 연계운전형, 단독운전형 |
역조류의 유무 | 역송가능형, 역송불가능형 |
분산전원 위상
현재시각
이전까진 전력시스템의 수요 증에에 대해 전원의 대규모화로 대응. 에너지,환경문제와 전원입지 및 송전선 경로 확보 어려움으로 장기적 전력수금의 안정성 확보에 불확실성이 예상됨
분산전원의 배전계통연계/도입에 대한 시각
긍정 | 부정 |
- 대규모전원의 보완(전원계획상의 유연성) - 비교적 환경부하가 적은 에너지원의 이용 - 다양한 에너지원의 효육적 이용 - 배열이용에 의한 에너지효율의 향상(열병합, 연료전지 등) |
- 소용량의 전원 - 불안정 전원(태양광, 풍력 등) - 비경제성 - 기존 계통의 전력품질 및 신뢰도 저하 - 계통운용상의 문제(보호협조, 안전, 보안) |
장래전망
비전기사업자의 분산전원이 주류를 이루는 현재는 부정적인 시간이 더 강하게 어필될 수 있는 것 같이 보임
하지만, 전기사업자의 분산전원을 자사의 배전계통에 전략적인 도입을 꾀한다면 대규모전원이 제공할 수 없는 장점(송배전설비의 강화 및 투자비용의 증가억제 및 지연, 계통의 신뢰성 개선, 효육적 설비운용, 수용가 서비스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으며, 장차 전력시장의 개방에 대비한 발전시장부문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음
728x90
'전력 > 분산전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전설비 보호방식 개요 [분산전원 배전계통 보호협조] 2023.5.18 (1) | 2023.05.18 |
---|---|
배전계통 구성설비와 보호장치 [분산전원 배전계통 보호협조] 2023.5.17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