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자격증/전기(기사, 공사기사)29

전기공사기사 실기 (2021년 1회차) [21년 1회차] 변압기 Y --> CT △ 변압기 △ --> CT Y CT 2차측 전류 = S / (√3*V) + 변류기에 흐르는 전류 CT Y는 동일 CT △는 √3배 금속,버스 덕트 공사의 시설조건 -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3m이하로 견고하게 붙일 것 - 취급자 외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하는 곳에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 6m이하로 견고하게 붙일 것 나전선: 애자공사, 버스덕트, 라이팅덕트, 접촉전 KEC 232.2-1 전선 및 케이블의 구분에 따른 배선설비의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 공사방법 케이블공사 전선관 시스템 케이블 트렁킹 (몰드형, 바닥 매입형 포함) 케이블 덕팅 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래더, 브래킷 등 포함) 애자 공사 비 고정 직접 고정 지지선 나.. 2024. 2. 27.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5) [22년 4회차] 버스 덕트 공사(취급자 외 출입가능 3m, 취급자 외 출입 불가능시 수직으로 6m) 라이팅 덕트 공사: 2m 특고압을 직접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압기는 다음의 것 이외에는 시설하여서는 아니된다. - 전기로등 전류가 큰 전기를 소비하기 위한 변압기 -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소내용 변압기 - 333.32의 1과 4에서 규정하는 특고압 전선로에 접속하는 변압기 -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인 변압기로서 그 특고압측 권선과 저압측 권선이 혼촉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변압기를 전로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한 것 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는 전로 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전압 및 대지전압의 억제를 위하여 직류 2선식의 임의의 한 점 또는 변환장치의 직류측 중간점,.. 2023. 7. 20.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4) [22년 2회차] 품에서 규정된 소운반이라 함은 20m 이내의 수평거리를 말하며 소운반이 포함된 품에 있어서 소운반거리가 20m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분에 대하여 이를 별도 게상하며 경사면의 소운반거리는 직고 1m 수평거리 6의 비율로 본다. 매입 방법에 따른 건축화 조명 방식 - 매입형광등 방식 - 다운라이트 방식 - 코퍼라이트 방식 - 핀홀라이트 방식 - 라인라이트 방식 착수신고서 서류 - 감리업무 수행계획서 - 감리비 산출내역서 - 상주, 비상주 감리원 배치계획서와 감리원의 경력확인서 - 감리원 조직 구성내용과 감리원별 투입기간 및 담당업무 KS C 8000 조명기구 통칙 0 등급: 접지단자 또는 접지선을 갖지 않고, 기초절연만으로 전체가 보호된 기구 Ⅰ등급: 기초절연만으로 전체를 보호한 기구로서 .. 2023. 7. 20.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3) [22년 1회차] HID Lamp: 고휘도 방전램프 HID Lamp로서 많이 사용되는 등기구: 고압 수은등, 고압 나트륨등, 메탈 헬라이드 램프 - 변압기의 절연저항: 절연저항계(메거) - 검류계의 내부저항: 휘스톤 브리지 - 전해액의 저항:콜라우시 브리지 - 백열전구의 필라멘트(백열상태): 전압강하법 - 고저항 측정: 절연저항계(메거) + 배전선의 전류: 후크온 메터 과전압 계전기: 계통의 접압이 과 상승할 경우 차단기를 개방하여 콘덴서를 보호 저전압 계전기: 정전 또는 저전압시에 차단기를 개방함으로써 전압회복 시 발생할 수 있는 계통의 과전압으로부터 콘덴서 보호 1련 내장 애자 장치(역조형) 점퍼 터미널 - 앵커 쇄클 - 볼 크레비스 - 현수 애자 - 소켓 아이 KEC 512.2.3 계측장치 전기저장.. 2023. 7. 20.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2) [15년 4회차] TS 커플리 - 관단 내면의 관두께의 약 1/3 정도 남을 때까지 깎아낸다. - 커플링 안지름과 관 바깥지름의 접속 면을 마른 걸레로 잘 닦는다.(특히, 기름기는 잘 닦아낸다) - 커플링 안지름과 관 바깥지름의 접속 면에 속효성 접착제를 엷게 고루 바른다. - 관을 커플링에 끼워 90˚ 정도 관을 비틀어 그대로 10~20초 정도 눌러서 접속을 완료하고 튀어나온 접착제는 닦아낸다. EL 램프 특징 - 빛의 투과율이 매우 높다 - 기계적으로 강하다 - 얇은 산화물 피막으로 전기 저항이 낮다 - 정현파 전압을 높이면 광속 발산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 전압을 더욱 높이면 광속발산도가 포화상태가 된다 - 충전 시 제1피크, 방전 시 제2피크가 나타나는 일종을 콘덴서와 비슷하다. UPS 동작 방.. 2023. 7. 20.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0) [15년 1회차] 서지 과전압 발생 원인 - 개폐 과전압: 차단기의 동작 및 고장 - 뇌 과전압: 직격뇌, 역섬락, 유도뢰 - 일시 과전압: 페란티 효과, 철 공진, 부하의 급격한 변화, 고장, 차단기 동작 부분 방전: 절연체의 국부적인 곳에서 전계의 집중이나 절연 내력의 저하로 발생하며 내부 방전, 코로나 방전, 표면 방전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공 송전선로의 경우 높이 60[m] 이상인 경우 철탑에 대해 항공 표시구를 가공 지선에 취부하고 항공장애 표시등은 철탑 높이 및 비행 구역에 따라 취부한다. 유리 애자는 70[%] 이상의 규토로 구성되어 있고, 저온으로 용해하기 위해 Na2O, 내구성 향상을 위해 CaO, 제작상 편리와 특성 유지를 위해 MgO, Al2O3, K2O 등의 성분을 적당한 비율로 .. 2023. 7. 20.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19) [16년 4회차] 와이어 통: LP 애자나 현수 애자를 사용한 전기 설비에서 활선 장주를 이동하여 상부로 올리거나 작업권 밖으로 밀어낼 때, 혹은 활선 장주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활선 공구 애자와 같은 유기 절연재료가 오손되면 표면에 흐르는 누설 전류 때문에 미소방전이 생긴다. 그 결과 절연물 표면에는 탄화된 도전로가 형성되는데, 이것을 트래킹이라고 부른다. 트래킹이 형성된 애자를 그대로 방치하면 점차로 발전하여 섬락이 발생하게 되어 절연 파괴로 인한 지락 사고를 야기시킨다. 장주 - 보통 장주 - 창출 장주 - 편출 장주 - 래크 장주 - 편출용 D형 래크 장주 지선 공사에 필요한 자재 - 지선 밴드 - 지선(아연도 철선) - 지선 애자 - 지선 로드 - 지선 근가(콘크리드 근가) 전선 굵.. 2023. 7. 19.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18) [16년 2회차] 전기 기기의 선정, 시설을 위한 배선 설비의 선정과 시공 시 고려할 사항 - 과전류에 대한 보호 - 과전압에 대한 보호 - 고장 전류에 대한 보호 - 열적 영향에 대한 보호 - 감전 예방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 공사 방법 - 금속관 공사 - 합성수지관 공사 - 케이블 공사 비접지 방식: 1선 지락 고장 시 충전 전류에 의해 간헐적인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 전압이 발생하므로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사용되지 안흔 접지 방식 직접접지 방식: 1선 지락 고장 시 건전상의 전위 상승이 높지 않아 유효 접지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초고압 송전선로에서 경제성이 우수하여 우리나라 송전 계통에 사용되고 있는 접지 방식 분기 회로: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 과전류 차단기를 거쳐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 2023. 7. 19.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17) [16년 1회차] 2련 내장 애자장치 (1) 앵커 쇄클 (2) 체인 링크 (3) 삼각 요크 (4) 볼 크레비스 (5) 현수 애자 (6) 소켓 크래비스 (7) 압축형 인류 클램프 애자련 개수의 결정은 내부적인 원인에 의한 이상 전압에 대하여 섬락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애자의 상하 금구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압을 점점 높여가면 애자 주위의 공기를 통해서 아크가 발생되어 애자가 단락되게 되는 전압을 섬락전압이라고 한다. 전선 측에 붙여서 전선에 대한 정전 용량을 늘리고, 선로의 섬락 시 애자가 열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막는 데 효과가 있는 것을 초호각 또는 초호환이라고 한다. 요구하는 접지의 목적과 접지 저항값을 얻기 위해서는 대지의 구조에 따라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지 공법.. 2023. 7.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