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전설비 보호방식 일반
배전선로 보호: 지리, 환경, 부하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보호협조 체계 구축. 각종 고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고장발생 시 고장구간을 최소화시키는 것
[지리적 선로보호]
지리적 선로보호: 배전선로 인근 지리적 특성에 의한 배전선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주요 고려대상: 도심지, 경작지, 야산지, 해안(강), 전철(철도) 등
지역 | 보호사유 | 보호방식 |
도심지 | 대단위 아파트 밀집지역의 광역정전 예방 |
일정구역 단지 마다 개폐기 설치로 분기화, 구분화 공급전원의 루프화 |
경작지 | 대단위 비닐하우스 재배지역의 정전예방 태풍, 강품에 의한 비닐류의 비상에 의한 정전예방 |
대단위 비닐하우스 재배지역 전단에 보호기기(R/C) 설치 대단위 비닐하우스 재배지역 후단에 자동화용개폐기 설치 |
야산지 | 태풍, 폭우 등에 의해 지형의 유실로 지지물 등의 도괴시 발생하는 정전 사고예방 | 야산 공급구간의 전단에 보호기기 설치 후단에 자동화용개폐기 설치 |
전철 | 전철 공급선로의 정전에 의한 대중교통 수단의 마비 예방 | 공급전원의 루프화 전철(철도) 회당개소 전/후에 배전 자동화용개폐기 설치 |
[환경적 선로보호]
환경적 선로보호: 배전선로 시설 지역 환경적 특성에 의한 배전선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주요 고려대상: 수목, 조류, 염/진해 등
지역 | 보호사유 | 보호방식 |
수목접초 | 폭우, 태풍에 의해 수목 도괴로 인한 고장 발생 예방 | 도괴로 인한 고장 발생에 대한 설로 보호 고려 |
조류 서식지 |
조류 서식지에서 조류의 감전으로 발생하는 고장 예방 | 조류 둥지 제거 노출 개소의 충전부 보호 |
염/진해 | 염/진해로 인한 선로 고장 예방 | 수밀형전선 사용 접속부의 완벽한 절연(자기융착테이프로 접속부 충전부를 절연한 후 커버를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 |
[부하특성을 고려한 선로보호]
부하특성 고려 선로보호: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적 특성을 고려한 선로보호. 특수고객 대상(PC방, 병원, 양어장, 양계장, 비닐하우스 등)
2. 배전설비 주요 보호장치
[배전선로용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배전선로에서 고장 발생 시 미리 정정된 정정조건(픽업전류, 탭, 레버, 시퀸스 등)에 따라 픽업전류 이상의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차단하는 선로보호용 보호기기
순시동작 차단: 발생된 고장의 고장전류가 순시정정값 이상의 큰 인출단 부근 고장인 경우
한시동작 차단: 발생된 고장의 고장전류가 한시정정값 이상의 비교적 인출단에서 멀리 떨어진 고장인 경우 동작책무*에 따라 차단
배전선로용 재폐로 차단기가 배전선로에 설치된 경우 R/C와 협조하여 고장구간 최소화. 이 경우 CB의 보호구간은 선로인출부에서부터 R/C 설치점까지
**동작 책무: O-2[초](0.5[초])-CO-15[초]-CO
[배전선로용 재폐로 차단기(R/C: Recloser)]
배전선로에서 고장 발생 시 미리 정정된 정정조건(최소동작전류, 시퀀스 등)에 따라 최소동작전류이상의 고장을 검출하여 차단하는 배전선로보호용 보호기기
순간고장** 경우: 일정시간 동안 개방 후 재투입되어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
일시고장** 경우: 정정된 시퀀스(예: 2F2D)대로 동작된 후 R/C를 차단하여 고장구간을 계통에서 분리함으로써 전체선로에 파급될 수 있는 정전범위를 최소화
**순간고장: 1[회] 재폐로 또는 2[회] 재폐로 후에 고장원인이 제거되어 정상적으로 전력공급이 되는 고장
**일시고장: 2[회] 재폐로 후에도 고장원인이 제거되지 않아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고장
[에폭시절연 고장구간 차단기(EFI: Epoxy Insulated Fault Interrupter)]
배전선로의 고압 고객의 책임분기점에 설치하여 고객설비 구내에서 고장발생 시 배전선로로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기기
고객설비 구내에서 고장 발생 시 미리 정정된 정정조건(최소동작전류, 시퀀스 등)에 따라 최소동작전류이상의 공장을 검출하여 차단
R/C 등의 후비보호기기와 협조하여 고장 구간을 축세개방함으로써 배전선로로의 고장 확대 및 파급을 방지, 피해 최소화
[고객설비용 보호기기]
고객설비 구내에서 고장 발생 시 신속히 동작하며 설비불량 고장으로 인한 고객설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설하는 보호기기
1) 고객선로용 차단기(CB: Circuit Breaker)
계약전력 1,000[kW] 이상의 고객설비에 시설
순시동작 차단: 발생된 고장에 의한 고장전류가 순시정정값 이상의 큰 고장인 경우
한시동작 차단: 발생된 고장의 고장전류가 한시정정값 이상의 비교적 작은 고장인 경우 동작책무에 따라 차단
2) 고장구분개폐기(ASS: Auto Section Switch)
계약전력 300[kW] 이상 ~ 1,000[kW] 미만의 고객설비에 시설
고장발생 시 정정조건(최소동작전류, 시퀀스 등)에 따라 최소동작전류 이상의 고장을 검출하여 차단하는 고객설비보호용 보호기기
3) 자동부하전환개폐기(ALTS: Auto Load Transfer Switch)
국가안보나 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주요기관이나 공공기관, 병원, 언론사에 설치
두개의 전원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신뢰도 높은 고객용 보호기기
정전보호: 주전원이 정전되면 예비전원으로 자동 절환(순간고장)되어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고장보호: 고장 발생 시 정정조건(픽업전류, 탭, 레버 등)에 따라 픽업전류 이상 시 고장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측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주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절환하지 못하도록 막음
[주의] ALTS는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이 없음
3. 배전설비 호보방식의 특성 활용
[배전선로용 차단기(CB: Circuit Breaker]
CB가 동작하는 경우 배전사업소의 설비관리부서(배전센터, 배전운영실)에서는 CB의 동작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여 선로에서 발생한 고장유형을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하여 신속한 고장복구가 되게 함
[배전선로용 재폐로 차단기(R/C: Recloser)]
R/C 이후 배전선로의 상 연가지점 등을 파악하여 R/C 동작 시 고장발생 상을 파악하여 배전운영실 선로 순시자에게 제공하면 쉽게 고장구간을 찾을 수 있음
변전소 CB 인출단의 상과 일치시켜 CB가 동작할 경우에도 동작사항이 현장과 일치하도록 하여야 함(상을 현장과 다르게 파악하고 있다면 엉뚱한 곳에서 고장점을 찾느라 선로순시 시간이 길어져 고장복구가 지연될 수 있음)
중요고객이 있는 곳에서는 R/C를 중요고객 인입점 이후에 설치하여 고장에 의한 파급이 적도록 하고, 도심지의 도로양측 아파트밀집지에서는 좌/우 아파트밀집지가 모두 정전되지 않도록 R/C를 설치하면 효과적
'전력 > 분산전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전원의 개념과 위상 [분산전원 배전계통] 2023.5.20 (0) | 2023.05.20 |
---|---|
배전계통 구성설비와 보호장치 [분산전원 배전계통 보호협조] 2023.5.17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