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력/전력산업 밸류체인

깨끗한 전력 생산, 신재생 에너지(2) [꼭 알아야 할 전력산업 밸류체인5] 23.05.16

by GILBU 2023. 5. 16.
728x90

신재생에너지를 곧바로 화석연료의 대체재로 사용할 수 없는 이유: 전통적 발전원보다 비용이 많이 듦

 

전기 생산비용은 경제적 비용과 환경 안전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적 비용을 모두 고려해야 함

 

균등화 발전원가: 발전소 건설비용, 운영비용, 사고위험비용 등을 모두 고려

미국, 영국의 균등화 발전원가를 보면, 미래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원가가 원전보다 저렴해질 것으로 전망

 

균등화 발전원가 미국 2022(달러) 영국 2025(파운드)
원자력 99.1 95
석탄화력 123.2 131
태양광 66.8 63
육상풍력 52.2 61
액화천연가스 82.4 82

 

P4G: 지구 최대 현안인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출범한 글로벌 협의체

2021년 5월 P4G 서울 정상회의: 탈석탄 가속화, 지구온도 상승 1.5도 억제 등의 내용이 담긴 서울선언문 채택

이와 같이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원을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하는 에너지 전환은 전세계적인 추세

 

재생에너지 3020: 2030년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 높이는 에너지 전환 계획. 누적 설비용량 64GW까지 보급하며,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이나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 목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공급의무자는 총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한다는 제도. 인증 수단으로 정부로부터 전력/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발급 받아야 함. 다른 발전회사에서 REC를 구입할 수도 있음(2013년 이후 REC 시장 참여 사업자수는 연평균 67%, REC 거래량은 연평균 58% 증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