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1차전류(A):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200 300 400 500
전력용 3상 변압기 표준용량(kVA) : 5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200 300 500 750 1000
촌동운전: 기동, 회전 방향 등을 점검하는 것으로 기동 스위치를 누르면
줄기초 터파기량 [m^3] = (a+b)/2 * h * 매설거리
견적 순서
- 발주자: 계획 – 조사 – 설계 – 견적 – 예정가격 결정 – 입찰 공고
* 견적: 공사수량계산, 시공계획설정, 품셈결정, 노무비/자재단자 결정, 경비산정
- 수주자: 입찰 공고 – 현장설명 – 견적 – 견적가 결정 – 입찰
* 견적: 시공계획작성, 노무비/자재단가 결정, 품셈결정, 경비산정
조명계산: FUN = EAD
- F [lm]: 광속 U [%]: 조명률 N [등]: 등수
- E [lx]: 조도 A [m2]: 면적 D = 1/M: 감광보상률 = 1/보수율
광속(F [lm])
- 구 광원: F = 4 pi I
- 원통 광원: F = pi^2 I
- 평판 광원: F = pi I
주상변압기 측정 및 시험 종류
- 절연저항 측정
- 여자 시험
- 전압비 시험
- 위상각 시험
- 절연유 내압 시험
전선 구비 조건
- 도전율 높을 것
- 기계적 강도 클 것
- 가공성(유연성)이 클 것
- 내구성이 있을 것
- 비중이 작을 것
- 전압강하가 작고 코로나 손실이 작을 것
접지 목적
- 감전방지
- 이상전압의 억제
- 보호계전기의 동작 확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구성: 축전지, 정류장치(컨버터), 역변환장치(인버터)
- 선로의 정전이나 입력전원에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전력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설비
페란티 현상: 선로의 경부하(무부하)시 정전용량에 의해서 송전단 전압보다 수전답 전압이 높아지는 현상으로 장거리 선로와 지중케이블 선로에서는 정전용량이 크기 때문에 특히 무부하 충전시 문제가 발생되며 부하역률은 지상역률로 중부하시에는 전류가 전압보다 위상이 뒤지지만 지중전선로의 경부하시나 가공전선로의 무부하 충전시 진상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으로 분로리액터를 대책으로 한다.
분로리액터: 페란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요 변전소에 설치되며 지상전력 공급을 통하여 무효분을 조정한다.
캘빈의 법칙: 1년간 잃게 되는 손실전력량의 금액과 건설 시 구입한 단위 길이의 전선 비에 대한 이자와 상각비를 가산한 연 경비가 같게하는 가장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
급전선(Feeder): 배전변전소 또는 발전소로부터 배전 간선에 이르기까지의 도중에 부하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선로
표준규격(ES-5975-0038) 인류스트랍
- 가공배전선에서 특고압 중성선으로 AL전선 사용 시 저압인류애자에 인류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구
내선규정 2155 특고압(22.9 [kV-Y]) 가공전선로의 장주 완철의 표준 길이 [mm]
전선의 조수 특고압 고압 저압
2 1800 1400 900
3 2400 1800 1400
KEC 341.13 피뢰기의 시설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 중 다음에 열거하는 곳 또는 이에 근접하는 곳에는 피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
-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KEC 232.71. 1 라이팅덕트공사 시설조건
- 덕트 상호 간 및 전선 상호 간은 견고하게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히 접속할 것
- 덕트는 조영재에 견고하게 붙일 것
-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2m 이하로 할 것
- 덕트의 끝부분은 막을 것
- 덕트의 개구부는 아래로 향하여 시설할 것
- 덕트는 조영재를 관통하여 시설하지 아니할 것
- 덕트에는 합성수지 기타의 절연물로 금속재 부분을 피복한 덕트를 사용한 경우 외에는 규정에 의하여 접지공사를 할 거. 다만, 대지 전압이 150V 이하이고 또한 덕트의 길이가 4m 이하인 때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덕트를 사람이 용이하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것
'자격증 > 전기(기사, 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 (0) | 2023.07.08 |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필기 5과목(전기설비기술기준, KEC) 기출 개념 (2) (0) | 2023.06.28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필기 5과목(전기설비기술기준, KEC) 기출 개념 (1) (0) | 2023.06.26 |
전기공사기사 필기 1과목(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기출 개념(2) (2) | 2023.06.16 |
전기공사기사 필기 1과목(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기출 개념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