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전기(기사, 공사기사)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18)

by GILBU 2023. 7. 19.
728x90

[16년 2회차]

 

전기 기기의 선정, 시설을 위한 배선 설비의 선정과 시공 시 고려할 사항

- 과전류에 대한 보호

- 과전압에 대한 보호

- 고장 전류에 대한 보호

- 열적 영향에 대한 보호

- 감전 예방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 공사 방법

- 금속관 공사

- 합성수지관 공사

- 케이블 공사

 

 

 

비접지 방식: 1선 지락 고장 시 충전 전류에 의해 간헐적인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 전압이 발생하므로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사용되지 안흔 접지 방식

직접접지 방식: 1선 지락 고장 시 건전상의 전위 상승이 높지 않아 유효 접지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초고압 송전선로에서 경제성이 우수하여 우리나라 송전 계통에 사용되고 있는 접지 방식

 

 

 

분기 회로: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 과전류 차단기를 거쳐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

 

 

 

차단기의 정격 투입 전류

- 모든 정격 및 규정의 회로 조건하에서 규정의 표준 동작 책무 및 동작 상태에 따라 투입할 수 있는 투입 전류의 한도

- 투입 전류의 최초 주파수에서 순시 최대값으로 나타내며, 정격 차단 전류(실효값)의 2.5배를 표준으로 한다.

 

 

 

경완철 - 볼쇄클 - 현수애자 - 소켓아이 - 데드엔드 클램프 - 전선

 

 

 

지선의 시설

- 지선의 안전율은 2.5 이상일것

- 허용 인장 하중의 최저는 4.31[kN]으로 한다.

-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 소선의 지름이 2.6[mm]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할 것

 

 

 

공구 손료: 일반 공구 및 시험용 계측 기구류의 손료로 공사 중 상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직접 노무비(노임 할증 제외)의 3[%]까지 계상한다.

 

 

전선 가선 시 실 소요량

- 선로가 평탄한 경우: 실 소요량 = 선로 긍장 x 전선 조수 x 1.02

- 선로의 고저차가 심할 경우: 실 소요량 = 선로 긍장 x 전선 조수 x 1.0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