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전기(기사, 공사기사)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24)

GILBU 2023. 7. 20. 22:45
728x90

[22년 2회차]

 

품에서 규정된 소운반이라 함은 20m 이내의 수평거리를 말하며 소운반이 포함된 품에 있어서 소운반거리가 20m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분에 대하여 이를 별도 게상하며 경사면의 소운반거리는 직고 1m 수평거리 6의 비율로 본다.

 

 

 

매입 방법에 따른 건축화 조명 방식

- 매입형광등 방식

- 다운라이트 방식

- 코퍼라이트 방식

- 핀홀라이트 방식

- 라인라이트 방식

 

 

 

착수신고서 서류

- 감리업무 수행계획서

- 감리비 산출내역서

- 상주, 비상주 감리원 배치계획서와 감리원의 경력확인서

- 감리원 조직 구성내용과 감리원별 투입기간 및 담당업무

 

 

 

KS C 8000 조명기구 통칙

0 등급: 접지단자 또는 접지선을 갖지 않고, 기초절연만으로 전체가 보호된 기구

Ⅰ등급: 기초절연만으로 전체를 보호한 기구로서 보호접지단자 혹은 보호 접지선 접속부를 갖든가 또는 보 호 접지선이 든 코드와 보호 접지선 접속부가 있는 플러그를 갖추고 있는 기구

Ⅱ등급: 2중절연을 한 기구 또는 기구의 외곽 전체를 내구성이 있는 견고한 절연재료로 구성한 기구와 이들을 조합한 기구

Ⅲ등급: 30 정격전압이 교류 V 이하인 전압의 전원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구

 

 

 

스폿네트워크 특징

- 무정전 전력 공급이 가능

- 공급 신뢰도가 높다

- 전압 변동률이 낮다

 

 

 

27: 교류 부족전압 계전기

37D: 직류 부족전류 계전기

51G: 지락 과전류 계전기

 

 

 

전기표준품셈 제1장 적용기준, 1-11-5 위험 할증률

고소작업 지상(비계틀 없이 시공되는 작업)

5m 미만 0%
5~10 20%
10~15 30%
15~20 40%
20~30 50%
30~40 60%
40~50 70%
50~60 80%
60m 이상 매 10m 증가마다 10% 가산

고소작업 지상(비계틀 사용시)

10m 이상 10%
20m 이상 20%
30m 이상 30%
50m 이상 40%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개소

- 접지공사의 접지도체

- 다선식 전로의 중성선

- 전로의 일부에 접지공사를 한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옥외등 공사에 사용하는 기구는 다음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노출하여 사용하는 소켓 등은 선이 부착된 방수소켓 또는 방수형 리셉터클을 사용하고 하향으로 시설할 것.

파이프펜던트 및 직부기구를 상향으로 부착할 경우는 홀더의 최하부에 지름 3㎜ 이상의 물빼는 구멍을 2개소 이상 만들거나 또는 방수형으로 할 것.

 

 

 

소호각의 역할 3가지

- 이상전압에 의한 섬락으로부터 애자련 보호

- 애자련의 전압 분포 개선

- 애자련 효율 향상

 

송전선을 ACSR로 할 때, 댐퍼(Damper)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 전선의 진동 방지

 

주상 변압기의 저압측에 설치하는 것: 캐치 홀더

 

3상 수직 배치인 선로에서 오프셋을 주는 이유: 전선의 도약에 의한 상간 단락 사고 방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