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15)
[17년 2회차]
조도 계산에 필요한 요소 중 조도 계산을 하기 전에 건축 도면을 입수하여 조사하여야 하는 사항
- 방의 크기(가로, 세로, 높이)
- 방의 마감 상태(천장, 벽, 바닥 등의 반사율)
- 방의 사용 목적 및 작업 내용
가연성 분진(소맥분, 전분, 유황 기타 가연성의 먼지)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 배선으로 적합한 공사 방법
- 금속관 공사
- 케이블 공사
- 합성수지관 공사
GPT에서 오픈델타 결선에 연결한 [R]의 명칭과 용도
명칭: 한류 저항기(CLR)
용도 - 보호 계전기를 동작 시키는 데 필요한 유효 전류를 발생시킨다.
용도 - 오픈델타 회로의 각 상전압 중의 제3고조파를 억제시킨다.
용도 - 비접지 회로의 이상 현상을 억제한다.
전기회로 또는 전기기기의 충전부와 노출 도전성 부분 또는 보호선 간에 고장이 발생하여 교류 50[V]를 초과하는 접촉전압이 발생한 경우는 그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여야 한다.
다운라이트 조명: 천장면에 작은 구멍을 많이 뚫어 그 속에 여러 형태의 하면 개방형, 하면 루버형, 하면 확산형, 반사형 전구 등의 등기구를 매입하는 조명 방식
광천장 조명: 천장면에 확산 투과재인 메탈 아크릴 수지판을 붙이고 천장 내부에 광원을 배치하여 조명하는 방식
코퍼 조명: 천장면을 여러 형태의 사각, 동그라미 등으로 오려내고 다양한 형태의 매입 기구를 취부하여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조명 방식
밸런스 조명: 벽면을 밝은 광원으로 조명하는 방식으로 숨겨진 램프의 직접광이 아래쪽, 벽, 커튼, 위쪽 천장면에 쪼이도록 조명하는 방식. 분위기 조명 방식
코너 조명: 청장과 벽면의 경계 구석에 등기구를 설치하여 조명하는 방식
방폭, 방식, 방습, 방온, 방진 및 정전기 차폐 등의 방호 조치가 되어 있지 않는 누전 경보기의 수신부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
- 화약류를 제조하거나 저장 및 취급하는 장소
- 가연성의 증기, 부식성 증기 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 대전류 회로, 고조파 발생 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 습도가 높은 장소
폭연성 분진이 있는 위험 장소의 배선은 다음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옥내 배선은 금속관 공사나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 시설한다.
금속관 공사에 의할 경우 다음과 같이 시설한다.
- 금속관은 박강 전선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가 있는 것을 사용한다.
-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이나 풀박스, 또는 전기 기계 기구와는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접속하는 방법,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하고 또한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지 않도록 접속한다.
- 박스 기타 부속품 및 풀박스는 쉽게 마모, 부식 기타 손상될 우려가 없는 패킹을 사용하여 먼지가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시설한다.
-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에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의 배선은 분진방폭형 유연성 부속을 사용한다.
지선의 시설 목적
- 불평형 하중에 대해 평형을 이루고자 할 경우
- 지지물의 강도를 보강시키고자 할 경우
- 전선로의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
96B: 브흐홀쯔 계전기
96P: 충격압력 계전기
33Q: 유면 검출 장치
가공 배전선로에서 전선 접속 작업 흐름
전선 공사 시공 기준 확인
전선 펴기 -> 전선 편기 길이 > 전선 조장 -> 직선 접속
전선 처짐 조정 및 고정
애자 설치 및 바인드 시공
전선 접속
충전부 절연 처리
작업장 정리, 정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