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전기(기사, 공사기사)

전기공사기사 실기 공부(4)

GILBU 2023. 7. 11. 20:09
728x90

[20년 1차]
 
SCADA 시스템: 전력계통 운용 자동화 및 변전소 무인 운전이 가능한 설비이며, 배전계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력 사령실 내부에 각종 장치로 정보를 제공하는 설비
 
SCADA 기능
- 원방 감시 기능
- 원격 제어 기능
- 원격 측정 기능
+ 자동기록 기능
+ 경보발생 기능
+ 타 시스템과의 연계 기능
 
SCADA 설치목적
- 에너지 절감
- 부하의 효율적 관리
- 안정화된 시스템 구성
- 기록 업무
- 원격 감시 및 제어
- 자료 연계
 
 
 
동전선 접속의 구체적 방법에 의한 직선 접속의 종류
- 가는 단선(6[mm²] 이하)의 직선 접속(트위스트 조인트)
- 직선 맞대기용 슬리브(B형)에 의한 압착 접속
 
내선규정 1430-8 전선접속의 구체적인 방법
직선접속
- 가는 단선(6[mm²] 이하)의 직선 접속(트위스트 조인트)
- 직선 맞대기용 슬리브(B형)에 의한 압착 접속
분기접속
- 가는 단선(6[mm²] 이하)의 분기접속
- T형 커넥터에 의한 분기접속
종단접속
- 가는 단선(4[mm²] 이하)의 종단접속
- 동선 압착단자에 의한 접속
- 비틀어 꽂는 형의 전선접속기에 의한 접속
- 종단겹침용 슬리브(E형)에 의한 접속
- 직선겹침용 슬리브(P형)에 의한 접속
- 꽂음형 커넥터에 의한 접속
- 천장 조명 등기구용 배관, 배선 이체형에 의한 접속
슬리브에 의한 접속
- S형 슬리브에 의한 직선 접속
- S형 슬리브에 의한 분기 접속
- 매킹타이어 슬리브에 의한 직선 접속
 
 
 
LBS(Load Breaker Switch 부하개폐기)의 설치 목적
- 수변전 설비의 인입구 개폐기로 사용되며 평상시 부하 전류를 개폐할 수 있다
- PF를 겸용한 LBS는 과전류, 단락전류를 보호한다
 
 
 
실지수 RI = XY / H(X+Y); X: 방의 가로, Y: 방의 세로, H: 등 높이 - 작업면 높이 [m]

ABCDEFGHIJ
5.04.03.02.52.01.51.251.00.80.6
4.5이상4.5~3.53.5~2.752.75~2.252.25~1.751.75~1.381.38~1.121.12~0.90.9~0.70.7이하

 
 
 
조명기구 배광에 따른 조명 방식
- 직접 조명
- 간접 조명
- 전반확산 조명
- 반직접 조명
- 반간접 조명
 
조명기구 배광에 의한 분류

조명방식하향광속[%]상향광속[%]
직접조명100~900~10
반 직접조명90~6010~40
전반 확산조명60~4040~60
반 간접조명40~1060~90
간접조명10~090~100

 
 
 
버스 덕트 종류
- 피더 버스 덕트
- 익스펜션 버스 덕트
- 탭붙이 버스 덕트
- 트랜스포지션 버스 덕트
- 플러그인 버스 덕트
- 트롤리 버스 덕트
 
 
 
설페이션 현상: 축전지를 방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면 극판의 황산납이 회백색으로 변하고 내부저항이 증가하여 충전 시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고 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
 
 
 
플랜트전공: 발전 설비 및 중공업 설비의 시공 및 보수
송전전공: 철탑 및 송전 설비의 시공 및 보수
송전활선전공: 송전전공으로 활선작업을 하는 전공
+ 변전전공: 변전설비의 시공 및 보수
+ 계장공: 플랜트 프로세스의 자동제어장치, 공업제어장치, 공업계측 및 컴퓨터 등 설비의 시공 및 보수
+ 배전전공: 전주 및 배전설비의 시공 및 보수
+ 내선전공: 옥내배관, 배선 및 등기구류 설비의 시공 및 보수
+ 특고압케이블전공: 특고압케이블 설비의 시공 및 보수(7kV 초과)
+ 고압케이블전공: 고압케이블 설비의 시공 및 보수
+ 저압케이블전공: 저압 및 제어용케이블 설비의 시공 및 보수
+ 배전활선전공: 배전전공으로서 활선작업을 하는 전공
 
 
 
조명 설계 시 눈부심 방지 대책
- 프리즘 또는 보호각이 충분한 반사갓 등을 부착한다
- 아크릴 루버 또는 젖빛 유리구를 사용한다
- 광도가 낮은 배광기구를 사용한다
- 글레어존(시선을 중심으로 상하 3의 범위)를 피한다
- 간접 조명, 반간접 조명 방식 채택한다
- 건축화 조명 방식 채택한다
+ 휘도가 낮은 광원(형광등) 사용
+ 보호각 조절
+ 광원 주위를 밝게 한다
+ 국부 조명을 피하고 전반 조명으로 설계
+ 기구의 설치위치, 조명각도 등을 적절하게 한다
 
 
 
접지계통 종류
- TN계통: 계통접지
- TT계통: 계통접지, 노출도전성분 접지
- IT계통: 계통 임피던스, 노출도전성분 접지
 
저압 접지 계통 중 TN접지 계통의 종류
- TN-S: 중성선과 보호선 따로 사용
- TN-C: 중성선과 보호선 동일전선으로 사용
- TN-C-S: 계통 일부를 중성선과 보호선 동일전선 사용
 
 
 
지중 인입선에 사용하는 케이블
- CNCV-W 케이블(수밀형)
- TR CNCV-W 케이블(트리억제형)
 
COS(컷아웃스위치): 수전용 변압기가 300[kVA] 이하인 경우 PF대신 사용할 수 있는 개폐기(비대칭차단전류 10[kA] 이상)
 
 
 
스폿 네트워크 배전 방식
배전변전소의 2회선 이상 계통의 모선으로부터 연결하고, 변압기 1차 측의 고압을 변압기 2차 저압으로 변성한 다음 2차 동일 모선에서 나오는 2회선의 급전선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1회선이 고장 시 다른 회선으로 무정전으로 저압 수용가에게 공급하는 신뢰도가 높은 배전 방식
- 전력회사로부터 2회선 이상을 수전하여 상시 병렬 운전하기 때문에 무정전 공급이 가능
- 배전선 1회선 또는 변압기 뱅크의 사고 시 무정전이며 공급제한 불필요
- 송전 정지 또는 복구 시에도 변압기의 2차측 차단기 자동 투입 또는 개방 가능
 
 
 
[해설 강의] https://youtu.be/BaGXJ7vevj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