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전력 생산, 신재생 에너지(1) [꼭 알아야 할 전력산업 밸류체인5] 23.05.15
인류는 오랜시간 화석연료를 이용. 하지만 고갈되는 자원과 기후변화의 주요인으로 화석연료가 지목되면서 전력산업 밸류체인의 '발전'단계에 변화시작. 이에 새롭게 주목받게 된 것이 신재생에너지(신애너지 + 재생에너지) 발전이다.
[신재생에너지]
신에너지: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에너지. 화석연료를 변환하거나 수소,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방식.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을 액화/가스화한 에너지가 신에너지에 포함
재생에너지: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등. 자연현상을 이용한 에너지로 고갈되지 않고 계속 생성.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2014년 100GW 돌파
2015년 유엔 기후변화 회의. 파리협정(전 세계 탄소배출 억제를 위해 노력)
최근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신재생에너지 발전 논의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전 세계적인 관심사
[신재생에너지 종류]
수소에너지: 물, 유기물, 화석연로 등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를 분리한 뒤 연소시켜서 전기를 얻는 방법.
- 수소 혼소 발전: 가스터빈에 수소와 천연가스를 태워 전기를 생산
- 연료전지 발전: 수소를 직접 연료로 사용. 일반 배터리와 달리 연료가 공급되면 재충전업이 전기 생산(고효율)
- 우리나라는 전세계 수소연료전지 보급량 40% 점유
석탄 액화/가스화 에너지: 고체연료인 석탄을 액화하여 휘발유나 디젤유 등 고급 액체연료로 전환하거나, 가스화해서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 등을 구동해 발전하는 에너지. 발전 효율 높음. 황성분 제거로 환경친화적.
-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석탄을 이용해 만들어진 천연가스를 일화탄소와 수소가스로 이루어진 합성가스로 전환. 동일 석탄량 기준 열에너지만 만드는 화력발전에 비해 가스와 열에너지를 모두 만들어 효율적.
태양에너지
- 태양광 발전: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로 변환. 고갈되지 않음. 환경오염 물질 배출하지 않음. 유지 보수 간편.
- 태양열 발전: 태양의 직사관성을 통해 생긴 열에너지를 난방이나 온수로 이용. 설치가 쉽고 저렴.
풍력에너지: 우리나라는 최근 해상풍력에 많은 관심. 해상의 경우 풍부한 바람과 일정한 풍속과 풍향을 보임.
그 외 소수력 발전, 조력 발전, 지열 발전, 바이오매스 발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