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전력산업 밸류체인

안정적인 전력 생산, 전통적 발전원 [꼭 알아야 할 전력산업 밸류체인5] 23.05.11

GILBU 2023. 5. 11. 20:12
728x90

우리가 소비하는 전력은 탄탄한 벨류체인을 이루고 있음

 

전력산업 벨류체인이란?

[전기의 생산 - 시장 계통운영 - 송배전 - 전기소비]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일련의 과정

 

전력사업 밸류체인 첫 단계: 전력 생산을 담당하는 발전회사

- 발전자원의 공급능력을 안정적으로 확보와 경제적으로 운용

 

화석연료와 원자력을 이용한 전력생산

- 에너지원이 터빈을 돌리면 터빈이 회전하면서 발전기 아느이 로터를 돌려 전기를 생산

- 전기 생산의 대표적 에너지는 화력, LNG, 원자력

- 화력발전: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의 열에너지로 물을 끓이고 그 증기를 이용해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

- LNG복합 발전: 천영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을 가동해 복합발전하는 방식, 발전효율이 높음

- 원자력 발전: 원자로 안에서 우라늄이 핵분열을 일을킬 떄 생기는 열을 이용해 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돌려 전기 생산

 

정부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이슈 해결을 위해 석탄을 과감하게 감축하고 LNG로 대체하고 있음

2019년 말 기준 LNG 설비 규모가 석탄과 원자력을 뛰어 넘었으며, 수명이 다한 석탄발전소를 복합발전소로 대체 건설하는 사업도 잇따르고 있음

  2019 2020 2030 2034  
신재생 15.8 19.3 57.9 78.1 신재생에너지 확대
LNG 39.7 41.3 57.0 60.6 폐지되는 석탄 30기 중 24기 LNG 전환
석탄 26.8 34.7 32.6 29.0 9차 계획 신규로 20기 추가 폐지(8차 계획 10기 폐지)
원전 23.3 24.7 20.4 19.4 원전의 점진적 감축

 

CO2 배출량이 석탄화력발전의 55% 수준인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기술 적극 도입

CO2를 포집하여 활용 또는 저장하는 기술인 탄소포집기술(CCUS)산업에도 박차

 

에너지 전환시대에 따른 이러한 변환에 국내 발전회사들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탄소 중립사회를 만들어 가고 있음

[6대 발전회사]

- 한국수력원자력: 국내 전력 공급의 30% 담당, 국내 최대 시장형 발전 공기업, 원자력/수력발전 주관, 발전연료 수입 대체효과와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

- 한국남동발전: 국내 전력 공급의 10% 담당, 인천 옹진의 영흥화력등 5개 발전, 세계 최초로 해양소수력 발전소의 상업 운전을 개시, 풍력/태양광/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확대하며 국내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1GW 달성

- 한국중부발전: 초고효율 초초임계압 화력발전 신기술의 국산화에 성공한 신보령발전본부 등을 운영, 세계최초 도심 지하 대규모 LNG복합발전소 준공

- 한국서부발전: 국내 총 발전설비용량의 약 9%에 해당하는 설비를 보유, 세계 일곱 번째(국내 유일) 석탄가스화복합발전설비 건설/운영, 국내 발전설비 기술자립도 향상(30년 90%)을 위해 발전기자재 및 원천기술 국산화 추진

- 한국남부발전: 7개의 발전소 운영, 2019년 미세먼지 저감률 부문 발전사 1위, 국산풍력 100기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대규모 국산 풍력단지 건설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충에 박차

- 한국동서발전: 국내 총 발전설비용량의 약 8.9%에 해당하는 설비를 가동, 설비효율 향상과 대기환경물질 저감 등 국내발전산업의 기술력을 한 단계 격상시킨 친환경 발전소인 당진발전을 비롯한 5개 발전소 운영

 

[민간 발전회사]

경제성장과 전력소비량 급증으로 발전설비 확대 요구가 높아짐

1999년 '전력산업구조개편 기본계획' 발표로 SK E&S, GS파워, 포스코에너지, HDC 현대산업개발 등 민간발전사 설립

해외에서 천연가스를 수입해 국내 발전소에 공급하고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적극적인 증설 투자로 끊임없이 성징하고 있음

 

728x90